디씨인사이드

우리나라에서 요식체인의 성패는 여대 앞 상권에서 얼마나 선전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는 뉴스를 본적이 있다. 이는 식도락을 즐기는 여성이 많고 그 사회적 영향력도 크다는 증거일 것이다. 그런데 아직도 사회(가부장제)에서 여성에게 식욕은 금기에 가까운 욕망이다. 여성은 식욕을 갈구하면 비난받고, 참아낼수록 칭송받는다.

예를 들어 식욕에 관대할 수 밖에 없는 식도락 만화 가운데 여성이 주인공인 작품이 몇이나 있을까? 대부분 절대미각을 갖고 있는 남자 주인공의 곁에서 맞장구나 쳐주는 역할이 아니었는지?  비록 여성이 주인공이라 하더라도 이때의 식도락은 케익, 초콜렛, 디저트 음식 등 ‘여성화’된 음식일 경우가 많을 것이다.

그러나 사랑없이의 주인공 Y나가 F미. 그녀는 사회적으로 여성에게 금기된 식욕에 충실할 뿐더러 솔직하다. 그녀는 간, 곱창 등 내장 요리에 환장하고, 자신이 선택한 요리, 혹은 음식점의 맞장구를 남성들에게 요구한다. 있을 수 있는 일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하지는 않아도 찾아 볼 수 있는 유형의 케릭터다. 그러나 우리는 미디어에서 이런 여성을 만나기 어려웠다.


DCINSIDE 만화갤러리 게시판 중 ‘대성학원’님이 쓴 글 가운데

가끔 볼만한 만화 추천 받으러 만화갤러리에 간다. 한페이지 두페이지 넘기다가 ‘사랑이 없어도 먹고 살 수 있습니다.’ 라는 만화에 대해서 소개하는 글이었는데, 일단 만화 자체보다 우리 사회 에서 여성의 식욕이 터부시 되어 왔다는 것, 각종 미디어에서 보여지는 ‘맛’에 대한 완고함 – 그리하여 그것이 곧 여성의 파편화로 이어진다는 것.. 이런걸 읽어내는 사람이 아무렇지도 않게 게시판에 이런 글을 적었다는 사실 자체에 대해서 소름이 돋을만큼 깜짝 놀랐다. 역시 디씨인사이드가 그렇게 욕을 먹으면서도 버티는 이유가 있구나!

디씨인사이드”에 대한 2개의 생각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