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는 한동안 거리에서 시를 쓰며 그것은 고통이라고 적었다. 매일매일 만나는 흰 벽과 책상과 사람들, 소음들로부터 떨어져 생경한 거리의 벤치에 앉아 낯선 이들의 면면을 살피며 시를 적는 그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우리는 본래적으로 낯선 것을 경계하는 습성이 있으므로, 그는 거리에서 우선 불안과 만났을 것이다. 불안. 정처 없음. 멈춰 있는 것으로부터 움직이는 것으로. 완전히 발현된 현사실성으로부터 가능성으로, 부족함과 비어 있음과 궁핍과 누추함으로 그는 걸어 들어 갔을 것이다. 그리고 그는 그에게 주어진 미지의 낱말들을 만났을 것이다. 세계가 존재로 가득 차 있다면 거기엔 운동이 있을 수 없고, 핀에 고정된 박제된 나비와 같이, 거기서 의미는 완결될 뿐이다. 그러므로 가난한 시인은 무궁한 쓸 것을 만날 수 있다. 그는 그랬다. 고통이 쾌감으로 바뀌는 지점과 불안이 힘의 원동력이, 그러니까 말의 힘이 되는 그 지점을 발견했다.
나는 한동안 아무 것도 적지 못했다. 일신의 안위와 자족을 위해, 육신의 안정함을 위해 골몰하고 나태했던 나는 나를 완전히 비우지 못했다. 오히려 차곡차곡 채우고 있었다. 네이버 블로그를 쓸 적에 나는 매우 작은 나였다. 나는 불안했고 나의 맥박은 쉴 사이 없이 고동쳤다. 채우고 싶었지만 아무 것도 채울 것이 없었다. 그래서 그때 쓴 글들을 나는 매우 좋아한다. 지금은 그 반대다. 현재 블로그에 쓴 내 글들은 전부 다 오물들이다.
지금 나는 낯선 곳에서 이 글을 쓴다. 나는 서른이고 나는 아무 것도 이룬 것이 없다. 나에겐 꿈이 없다. 나는 꿈 같은 것, 희망이나 행복을 믿지 않는다. 그런 것들은 쓸데없이 구체적으로 설명되기를 강요당한다.
엊그제 외삼촌을 만났다. 그는 내가 사고의 현실성에 익숙하지 않다고 했다. 이를테면 어떤 의미에서 그는 포스트 모더니스트다. 이성주의와 이념의 관념성에 질식한 자다. 나의 거의 두 배를 살아 온, 게다가 한때는 더없이 치열한 삶을 살았던 사람이었으므로 나는 아무런 이의도 말하지 않았다. 그의 현실은 확고하며 미래는 현재와 맞-이어져 하루하루가 그 길의 위에 놓여져 있다. 나는 이런 사람이 가장 무섭다. 이를테면 똑똑한 사람, 강력한 사람, 이루어지는 사람이 아니라 이루는 사람. 그러나 그것은 얼마나 슬픈 일인가.
지금 나는 낯선 곳이다. 창문은 열려 있고 집에서 듣기 힘든 굉음의 오토바이 소리, 자동차 경적… 동요하고 있다. 그릇에 물이 요동쳐 흘러 넘치고 있다. 나는 그 안에서 중심을 흩뜨리고 전복을 꾀한다. 불안하다. 심히 불안하다. 고정된 희망이 없으므로 불안하다. 기만적인 행복을 거부함으로 불안하다. 불안이 가득 차 있다. 나는 역동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움직일 것이다. 나는 그 무엇도 되기를 원하지 않지만 그 무엇도 될 수 있다. 나의 속성은 불안이다. 나는 불안을 이용할 것이다. 나는 불안과 입맞출 것이다. 내가 바로 불안이다.
불안은 나의 힘이다.
여전히 집에서는 댓글이 달리지 않아요. 차단되어있다나.
저는 형뿐만 아니라 모든 존재가 그저 불안인것 같아요. 겉보기에 단단해 보이는 사람들 마저도.
허어.. 그래? 네 컴퓨터 아이피 좀 불러봐. 근데 이상하네.. 차단일리가 없는데.
나도 몇 달 전인가 댓글을 달고 싶었지만 안됐었다는… 울컥~ ㅠ
2008년 서울 어딘가에서 제 2의 쉐렌 키엘케골이 나셨군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