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quor shot to le guin!

르귄에 대한 감회를 짧게 트위터에 올렸더니 @jaeyun 님이 바로 리플을 달아주시는데 내용이 이랬다.

‘liquor shot to le guin! liquor shot to all the dragons in Earthsea!’

최근에 재출간된 르귄의 ‘어둠의 왼손’을 오늘 다 읽고 나서야, 나도 같은 감회에 충분히 젖을 수 있었다. 나 역시 르귄에게 한 잔을! (맥주긴 하지만…)

르귄여사, 하면 꼬리표처럼 따라오는 ‘장르문학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단연코 첫번째 수상자가 될’ 이란 수식어에 피식한 적도 있었는데, 이상하게 예전에 잠깐씩 훑고 지나갔던 르귄은 당최 가까워지기 힘든 작가였기 때문이다. 그 말랑말랑한 수사며, 미몽에 찬 세계를 방황하는, 실존적 고뇌에 가득찬 주인공들은 심정적으로야 공감이 가지만서도 도무지 머리로는 이해 불가능한 작자들이었다.

어둠의 왼손을 읽어나가면서도 은근슬쩍 짜증이 나기도 했다. 대체 왜 지들끼리 (행복하게?) 지지고 볶아대는 게센 행성의 인민들에게 에큐멘의 동맹이 되기를 강요해야 하는가? 자기 신념에 대한 무한한 긍정이 외부세계로 확장될때 그것이 얼마나 큰 폭력이 되었던가는 우리가 이미 역사를 통해 절실하게 통감하고 있던 것 아닌가. 에큐멘은 결국 멋지게 포장된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에 지나지 않는게 아닐까 하고 말이다.

그러나 일단 다음 문장을 만났을때 나는 지하철 안에서 부끄러움도 잊고 다리에 힘이 빠져 주저 앉을뻔 했음을 고백한다.

‘아니오. 제가 말하는 애국심은 사랑이 아닙니다. ‘공포’입니다. ‘타인에 대한 두려움’ 입니다. 그것은 정치적인 것이지 결코 시적인 것이 아닙니다. 증오와 분쟁. 침략, 이 모든 공포가 우리들 안에 있습니다. 우리 안에서 매일같이 자라고 있습니다. 해마다 깊어져 가고 있습니다.’
– ‘어둠의 왼손’ p39

그리고 앞부분의 이 문장은 한참 뒤에 가서야 지극히 개인적인 체험으로 성찰된다.

‘오르고린 사람들은 요리하는 방법을 모르거든요. 그런데 제가 오르고린을 싫어한다고요? 아니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어떻게 한 국가를 미워하거나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티베는 물론 그런 말을 합니다만, 제게는 그런 재주가 없어요. 나는 그 나라의 사람들을 알고 도시들을 알고, 농장과 언덕이며, 강과 바위들을 알고, 가을이 되면 구릉에 태양이 어떤 모양으로 지는가를 알고 있지요. 그런데 그런 것에 경계선을 긋고 이름을 붙인 다음,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곳은 더 이상 사랑해선 안 된다니 대체 그 이유가 뭐지요? 그리고 자기 나라를 사랑한다는 건 또 무슨 말입니까? 자기 나라 아닌 곳은 미워하고 증오해야 한다는 말인가요? 그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지요. 오히려 자기중심적인 사랑이 아닐까요? 물론 그것도 중요한 것입니다만 미덕이 될 수는 없지요. …… 인생을 사랑하는 만큼 나는 에스트르 영지의 언덕들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그런 종류의 사랑에 증오의 경계선은 없어요.’
– ‘어둠의 왼손’ p 271

현미누나는 오히려 후반부로 갈 수록 주제의식이랄까 하는 것들이 희미해지는 바람에 (겐리와 아스트라벤의 엑소더스가 그리도 지루했다는) 생각했던 것만큼 후한 점수를 주기는 힘들 것 같다고 했지만, 나는 오히려 피상적으로 받아들여 질 수도 있는 게센과 에큐맨, 개인과 사회, 국가와 국가 간의 복잡하게 얽힌 이해 관계들에 대한 르귄의 주장이 후반부의 두 남녀(?)가 오르고린을 탈출하며 겪게 되는 개인적인 체험들로, 즉 이해 가능한 모습으로 녹아드는게 아닌가 싶었다.

뭐, 게센인의 독특한 생리적 특징들에 대한 알레고리를 더욱 적극적으로 살려내려는 시도가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서도.

아무튼 어둠의 왼손을 읽고 단숨에 르귄의 팬을 자처하게 되었고, 헤인 시리즈를 구매목록에 넣어두었다. 어스시 시리즈는 일단 좀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퍼언 연대기나 테메레르를 (이것도 구매 목록에 넣어 두었다. 르귄 작품은 아니지만.) 다 읽고 난 다음엔 어스시도 읽고 싶어질지 모른다.

무지개 여신

사실 다른 글을 적고 있다가 플레이어에서 무지개 여신 테마곡이 나와서 급선회.

진실한 멜로영화는, 두 캐릭터가 서로에게 진심이지만 그 진심이란게 결국은 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영화가 아닐까. 가끔 일본애들은 진짜 이런 영화들을 만든다. 러브 레터가 그렇고, 사월의 이야긴가는 보다가 히로인이 맘에 안들어서 때려 치웠지만, 무지개 여신은, 아무튼 내가 생각하는 멜로영화의 계보를 이어가는 그런 영화다.

그러고 보니 정말 통속적인걸 통속적이게 잘 묘사하는 무라카미 하루키도 일본 사람이지, 아마. (그러나 그를 ‘진짜 일본사람’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그의 단편 가운데 하나인 ‘토니 타키타니’를 원작으로 한 영화도 나오는 캐릭터들이 뭐 하나 제대로 안되는 그런 영화였다.

아무튼 문제는 우에노 주린데, 어찌된게 이 여자는 이다지도 싱그럽단 말인가. 싱그럽다 못해 징그럽게 푸르다. 옆에 그런 사람 하나 있으면 항상 웃게 될 것 같다. 그건 그렇고, 도식화해서 무지개 여신의 연예감정도를 그려보자면 이렇다.

1. 주리사마가 남자 주인공놈을 좋아함.
2. 이놈은 주리사마를 그냥 친구로만 생각함.
3. 둘 다 대학 졸업하고 주리사마는 영화 동아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방송국에 취직함.
4. 이놈은 계속 딴 여자에만 기웃거림.
5. 주리사마 맘 상했음. 그러다 PD가 미국가라고 해서 고민하다가 미국 가버림.
6. 그 사이 이놈은 주리사마 잊어버리고 여러 여자랑 사귐.
7. 세월은 흘러흘러 주리사마가 귀국하는데, 비행기 사고가 나서 사망.
8. 주리사마 동생이 이놈한테 연락해서 장례식에 감.
9. 주리사마 방에서 기념품을 챙기다(?) 주리사마가 자기를 좋아했다는걸 깨달음.
10. 하늘 보다가 끝남.
(아, 물론 영화의 편집은 이렇게 시간순이 아님.)

결론은?

우리는 누군가를 계속 사랑한다고 믿지만 결국 아무도 사랑하지 못하고 아무와도 연결되지 못한다는 것. 이걸 위안으로 삼아야 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