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길은 몇 미터도 되지 않는 곳에서 끝나는 것처럼 보였다. 사납게 휘몰아치는 눈보라 사이로 눈 쌓인 둔덕들이 자그마한 음영을 만들어 내다가 이내 흰 빛 속으로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나는 고개를 숙이고 묵묵히 걸었다.

저 멀리서 희미하게 차 소리가 들렸다. 고개를 돌리니 흰색 포드 승용차가 보인다. 나는 멍하니 서서 그 차가 내 앞을 지나가는 것을 지켜보았다. 차는 나를 지나쳐 조금 더 달리다가 멈춰서더니, 다시 후진해 내게로 다가왔다.

“어디까지 갑니까?”
“그냥… 다음 마을에서 내려주시면 고맙겠어요.”


..

“멀더, 정말 그 신부의 말을 믿는거에요?”
“왜 믿지 못하죠, 스컬리? 그는 우리의 속임수를 단번에 알아차렸어요.”

멀더는 그 말을 마치더니 뒤를 돌아보며 내게 물었다.

“당신은 ‘영매’를 믿습니까? 그러니까… 초자연 현상 같은 것들을?”
“글쎄요… 적어도 내게 해를 끼치지 않는 현상들은 믿는 걸로 해두지요.”
“허, 참. 그런걸 어떻게 판단합니까? 왜 솔직하지 못하죠?”
“단지 난 그런 것들에 쉽게 빠져들지 못하는 것 뿐이에요. 그런 당신은 절대적으로 믿고 있나요?”
“멀더, 그만해요. 미안해요. 이 남자는 어딘가에 집중하기 시작하면 다른 것들은 전혀 보지 못하거든요.”
“괜찮습니다. 그런데, 이 근처에 무슨 일이라도 있는건가요? 갑자기 영매라니…”

멀더와 스컬리는 서로를 난처한 표정으로 바라보았다.

“아니, 별 일은 아닙니다. 어떤 남자가 환영을 본다고 해서 말이죠.”
“계시 같은거 말이죠?”
“네.”

눈보라는 더 심해지기 시작했다. 우리는 침묵했고 엔진 소리만 요란했다.

“아주 오래 전에, 그러니까 내가 어렸을 적에 그런 드라마를 본 적이 있어요. 초자연 현상을 조사하는 수사관에 관한 이야기였죠. 외계인도 나오고 괴물도 나오고 유령도, 혹은 그 이상의 설명 불가한 사건도 나오는 그런 이야기였어요. 그런걸 보는걸 즐겨했어요. 하지만 나이가 들고 나니, 내가 그걸 수년간 계속 볼 수 있었던 것은 그런 흥밋꺼리 때문이 아니라 주인공인 두 수사관이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 해 가면서 ‘믿음’ 그 자체를 믿는 모습에 감동했기 때문이란 사실을 깨닫게 되었죠. 사실 뭘 믿느냐는 중요한게 아닌 것 같아요. 우린 모두 서로의 믿음을 갖고 있고 또 그런 믿음들에 경의를 표해야 하지만,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믿는다는 행위 그 자체인거죠. 나는 정말 끊임없이 희구하고 경탄하고 싸워서 지켜내며 소중하게 여길 만 한 어떤 것들을 갖고 있을까… 그렇게 자신에 대해서 계속 질문하기를 그만두지 않을 수 있을까… 온 세계가 나의 믿음에 대해 적대적일 때에도 나는 믿는 행위를 멈추지 않을 수 있을까… 멀더 그리고 스컬리, 그래서 말이죠.”

나는 잠시 호흡을 멈췄다.

“나는 당신들에게 너무 감사해요. 당신들은 지난 십년 간 수많은 멸시와 모욕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믿고 있군요. 멀더, 당신의 생각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당신을 지지하고 있어요. 당신과 함께 믿기를 바래요. 스컬리, 나는 아직 자기의 꼬리를 무는 뱀을 기억해요. 피해자가 멀더를 의지하고 멀더가 당신을 의지한다면, 과연 당신은 누굴 의지하고 있나요? 그 모든 무거운 짐을 지고서도 단 한 번 흔들리지 않았던 당신의 믿음 또한 나는 존경해요.”

둘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이윽고 길의 끝에서 마을이 나타났다.


..

“목적지까지 데려다 주지 못해서 미안해요. 우린 여기서 해야 할 일이 있어서…”
“괜찮습니다. 덕분에 따뜻하게 올 수 있었어요.”

우리는 서로를 멋적게 쳐다보았다.

“멀더, 할 말이 있어요. 핸드폰 잘 챙겨요. 무슨 일이 있으면 곧바로 스컬리에게 연락해야 해요. 그리고 스컬리. 포기하지 말아요. 나는 당신의 선택이 옳았다고 생각해요.”

나는 손을 흔들며 그들과 멀어져 갔다. 뱃 속에서부터 뜨거운 기운이 올라와서 길을 걷기가 수월해졌다. 고개를 들어 앞을 보았다. 눈보라가 조금씩 그치고 있었다.

—>

믿는 자들의 기록
스프는 있습니다. (김진혁PD)

엑스파일

‘엑스파일 극장판 2탄, 나는 믿고 싶다’가 8월 중으로 개봉한다고 한다. 나이살 감출 길 없는 멀더와 긴 머리의 스컬리는 트레일러를 통해 아무리 봐도 도무지 믿기지 않는 풍경이긴 하다만, 그래도 나는 보러 갈 것이다.

얼마 전에 사티형이 그랬다.

“정성일 선생님 무슨 글에서 나온 얘긴데, 엑스파일에는 항상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이 있데.”

“뭔데요?”

“좋은 소식은 진실은 항상 저 너머에 있다는 것.”

“나쁜 소식은?”

“나쁜 소식은… 진실은 항상 저 너머에 있을 뿐이란 것.”

“하하하!”

나는 이 사람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담배 피우는 남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엑스파일에서 멀더와 스컬리가 진실을 쫓는 자라고 하면, 그 대척점에는 진실을 숨기는 ‘담배 피우는 남자‘가 있다. 시즌 4 에피소드 7은 이 남자를 위한 드라마다. 그가 어떻게 해서 사회의 그림자가 되었는지, 그가 관계된 사건은 무엇인지, 그는 왜 진실을 숨기려 하고, 그의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단서가 드러난다. 이번 편에서는 우습게도 멀더와 스컬리는 얼굴도 보이지 않는다.

그는 통수권자 위에 존재하는 자다. 그는 법 위에 존재하며, 그는 무소불위의 권력을 가진 사람이다. 하지만 그는 이름이 없다. 그는 가족도 없고, 그에 대한 공적 기록도 전무하며, 그가 속한 부서가 실제로 존재하는 지도 알 수 없다. 그는 역사를 만드는 사람이지만, 그가 역사에 드러날 일은 없다.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멀더와 스컬리가 결국 모든 사건에 대한 증거를 차곡차곡 모아 그의 실체를 폭로하게 될 때, 즉 이 엑스파일이 완전무결하게 종영할 때에야 그는 세상에 나오게 될 것이다. 아마도 크리스 카터가 자기 자신이 만든 이 물건에 대해서 완전히 이해하고 있다면, 그는 여전히 그를 ‘담배 피우는 남자’로 남겨 두어야 할 것이다. (이 포스트를 쓸 때에 나는 마지막 에피소드를 보지 않은 상태였다.)

사실을 은폐하는 것은 정부의 오래된 유행이다. 대중의 지성은 정부의 잣대에 의해 판단되고, 대중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은 분리된다. 그들은 인간을 넘어 설 수 있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그렇게 행동한다. 마치 몸을 떠나 생존할 수 있는 머리를 상정하듯이. 그러나 과연 정말 머리가 손과 발에게 앞으로 닥칠, 혹은 닥쳤던 일들에 대한 사실을 은폐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에피소드는 그런 이야기를 하고 있다. 담배 피우는 남자는 비인격적 존재(도덕적 의미가 아님)로 그려진다. 그는 ‘실제로’ 역사를 움직인다. 마치 지구를 떠받들고 있는 아틀라스처럼, 그의 책무는 가혹하다. 그래서 그가 오스왈드를 허수아비로 내 세워 JFK와 마틴 루터 킹을 암살했을 때, 더 이상 ‘애국’이라는 기만으로 자기 자신의 실존을 극복하기 힘들게 되었을 때, 그때부터 그는 자기 자신의 이야기를 소설로 쓰기 시작한다. 소설을 통해 그는 자기에게 주어진 고통을 타자화 한다. 그의 소설에서 그는 낭만적이고 멋진 스파이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그는 냉혹하며, 한치의 흔들림도 없이 주어진 과업을 완수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그리하여 그가 필명으로 자신의 작품을 출판사로 끊임없이 투고할 때에 그것은, 자기 자신을 세계에 현시하고 싶어하는 욕망과 그럴 수 없는 현실의 이중성을 간접적으로 알리는 것이다. 구조요청인 것이다.

그러나 그의 투고는 매번 ‘너무나도 비현실적이다.‘는 이유로 거절당한다. 담배 피우는 남자로서의 그는 비인격적인 존재이고 어떤 비현실도 현실로 수용 가능하지만, 한편으로 그는 퇴근 후에 그를 반기는 냉랭한 집 안의 공기와, 차가운 침대와, 맥주와 말보로(몰리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있다.)와 함께하는 슈퍼볼 속에서 실존적 고독을 느끼는 개인일 뿐이다. 결국 싸구려 가십이나 실리는 펄프잡지에서 그의 작품을 싣겠다고 할 때에, 그는 처음으로 인간적인 기쁨을 느낀다. (아마 전 시즌을 걸쳐 담배 피우는 남자가 이토록 당황하고 기뻐한 적은 처음이자 마지막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해서 활자화된 자신의 세계(비현실적 현실)는 잡지사가 작품을 완전히 뜯어 고침으로써 또 다시 왜곡된다. 그리하여 그는 드디어 온전히 ‘담배 피우는 남자’가 된다.

캐릭터로서 담배 피우는 남자는 참 매력적이다. 어쩌면 멀더나 스컬리보다 더 그렇다. 그런 인간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인데, 드라마 내에서 너무나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