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그놈 환경에서 리듬박스와 EasyTAG의 조합

우분투를 그냥 설치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그놈 데스크탑 매니저 환경으로 부팅된다. 그놈은 오래되었고 많은 발전을 거듭한 데스크탑 매니저이므로 일반적인 사용에는 전혀 무리가 없다. (좀 더 가벼운 데스크탑 매니저를 원한다면 Fluxbox나 Xfce를, 무겁더라도 멋진(?) 걸 원한다면 KDE가 적당할 것이다.)

아무튼 그놈에는 기본적인 오디오 플레이어로 리듬박스를 사용할 수가 있다. 아마록이나 기타 등등의 강력한(?) 플레이어보다는 지원하는 기능이 적어도, 나는 아이팟도 없고 무거운건 딱 질색이라 리듬박스 정도가 적당했다. 그런데 문제는 ID(2|3) tag였다. ID tag란 (내가 아는 한) 음원 파일에 곡 정보를 삽입하는 일종의 표준 방식이다. 예를 들어, I_don’t_know_what_this_file_is.mp3 라는 mp3 파일이 있다고 할 때 이런 파일명만 가지고는 해당 곡이 어떤 곡인지, 누가 부른 노래인지, 그 곡이 포함된 앨범명은 어떤지, 장르는 뭔지 등등의 정보를 알아낼 수는 없다. 때문에 파일 안에 그러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것이다.  윈도우즈를 쓸 때는 ID tag에 대해서 별로 신경쓰지도 않았고, 한글 인코딩에도 문제가 없었다. (대부분의 mp3 파일들이 윈도우즈를 통해 교환된다는 사실로 두고 볼 때, 영어야 상관 없어고 한글은 죄다 CP949 등의 방식으로 인코딩 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UTF-8로 한글을 (혹은 다른 언어의 글자들을) 인코딩하는 우분투 리눅스를 쓰기 시작하자, 리듬박스가 UTF-8로 인코딩 되지 않은 한글 ID tag들을 무지막지하게 깨진 글자로 표현하기 시작했다.

전엔 별 신경쓰지 않았는데, 특히 리눅스용 오디오 플레이어들은 음원 파일들을 ID tag를 기준으로 정리한다. (물론 윈도우즈용 플레이어들도 그런 방식을 지원했는데, 당시에는 그 기능들을 쓰지 않았다.) 때문에 영어 파일들은 상관 없었지만 한글 파일들을 찾거나 앨범 단위로 정리할 때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ID tag를 정리하기로 마음먹었다.

일일이 수작업으로 리듬박스의 파일정보 창을 통해 태그들을 수정하는건 미친짓이다. (나는 1만곡 가까이 파일들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적당한 ID tag 수정 프로그램이 없을까 하고 찾아보다가 EasyTAG를 발견하게 되었다.

리듬박스는 그놈 환경이라면 기본적으로 깔려 있으므로 EasyTAG만 깔면 된다. 어렵지 않다.

‘프로그램 -> 추가/제거’ 에 들어가서 검색창에 ‘EasyTAG’를 치면 프로그램이 뜬다. 설치에 체크를 해주고 적용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설치된다.

나는 기본적으로 디렉토리 단위로 앨범을 관리하고 있어서 ID tag들을 수정하는데 편리했다.

ID tag 일괄 수정 방법
1. ID tag를 수정하길 원하는 앨범 디렉토리에 들어가 파일들을 전체 선택한다.

2.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면 CDDB Search Files… 라는 메뉴가 있는데 클릭한다. 해당 곡 정보들을 기준으로 CDDB라는 온라인 앨범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해 매치되는 앨범 정보를 통째로 가져온다. (단, 어떤 앨범 정보들은 없거나 (대부분 한국 앨범들은 없다.), 결과가 부정확한 경우가 있으니 적용 전에 앨범 데이터를 확인해본다.) 적용하길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오른쪽 창에 곡 정보가 뜨고 밑에 Apply를 클릭해서 실제 파일에 적용한다.

3. 파일에 적용된 ID tag들을 확인한다. EasyTAG의 태그 정보 Form들 옆에 보면 조그만 동그라미가 있는데, 이걸 클릭하면 해당 Form에 기록된 정보가 선택된 파일에 일괄 적용된다. Artist나 Year, Genre등은 앨범 내 곡들이 모두 같으므로 만약 CDDB에서 가져온 정보가 맘에 들지 않는다면 이걸로 수정해도 된다.

4. 수정이 다 되었으면 파일 선택 창에서 Ctrl + S를 눌러 ID tag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ID tag 정보를 바탕으로 파일명을 변환할 수 있는 여러가지 형식들을 지원하므로 이 기능을 이용하면 모든 파일을 예쁘게 일괄적으로 rename할 수 있다.


ID tag를 시간 날때마다 조금씩 수정하고 있다. 은근히 중독성 있는 일과다. -_-;;

제발 APM 컴파일 하지 마세요

십만년 전 도큐멘트를 보고 아직도 힘들게 APM을 컴파일 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다.

난 정보란 오래되고 가치가 떨어지거나 현재 상황에 비추어 잘못된 내용을 담고 있다면 자연적으로 도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한국에선 이게 반대다. 새로운 정보들에 대한 Needs는 계속 늘어나는데, 그것에 비해서 정보 생산량이 턱없이 낮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여전히 십만년 전 정보를 계속 여기저기로 퍼뜨린다. 검색엔진은 해당 검색키워드에 매치되는 페이지가 많은 오래된 정보를 여전히 검색상위 순위로 밀어 올릴 수 밖에 없다.

꽤 오래전에, (리눅스 타임으로 오래전이란 말) 나는 릴리즈 명이 hoary인 우분투 배포판에 설치된 리듬박스라는 음악 플레이어에서 mp3 파일을 실행하는 법을 정리해서 모 커뮤니티에 올린 적이 있다. mp3 파일은 라이센스 때문에 리눅스에서 그저 플레이어를 설치했다고 해서 그냥 플레이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약간의 편법(?)을 동원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몇년 전 그 문서가 여전히 여기저기로 퍼날라지고 있다. (각종 검색엔진에서 “우분투, 그놈, 리듬박스, 효리, mp3”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내가 쓴 글이 여기저기에 날라져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이제는 예전의 복잡한 방법 대신에 최신 버전의 우분투에선 ubuntu-restricted-extra 패키지만 인스톨하면 된다. 그런대도 사람들은 예전 내 문서를 보고 삽질을 반복하고 있다. (일일이 퍼 날라진 글까지 내가 수정할 수는 없어서 최근에 원본글만 수정을 했다. http://kldp.org/node/49400)

아무튼 APM(Apache + PHP + MySQL)에 대한 이야기다.

대체 각종 배포판들에 패키지 관리 개념이 도입된지가 언제인가? 그런데도 사람들은 수백만년 전의 APM 컴파일 문서들을 보고 삽질을 계속한다. 데비안이나 우분투를 사용한다면 시냅틱(GUI)이나 apt-get을 이용하고, 레드햇이라면 yum을, 젠투라면 emerge, 수세라면 yast를 쓰길 진심으로 바란다. 이런 대중적인 배포판 외에 다른 것을 사용중이라면, 뭔진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패키지 관리자가 분명 있을 것이다. 리눅스 프로그램 설치의 가장 고질적인 단점인 의존관계를 명쾌하게 해결해 주는 것은 패키지 관리 밖에는 없다.

가끔 (아니 사실은 상당히 빈번하게) 질답게시판에 한참을 스크롤해야 하는 컴파일 메시지들을 붙여 놓고 딱 한줄로 ‘이런 에러가 났는데 어떻게 하죠?’라고 질문하는 사람들이 있다. 장담하건데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답변을 얻을 확률은 없다. 왜 그런 에러가 났는지는 정말 아무도 모를 일이다. 라이브러리에 걸린 심볼릭 링크 하나가 잘못되어서 그럴 수도 있고, 컴파일러 버전이 낮아서 일 수도 있고, 환경변수가 잘못 지정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심지어는 다운로드 한 소스가 컴파일 오류를 가지고 있는 잘못된 리비전 일 수도 있다.

정말로 최신의 APM이 필요하다면 컴파일 밖에는 방법이 없다. 패키지 리스트에 올라오는 버전은 항상 최신 버전보다 낮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마지막 라인의 오류 메시지를 잘 봐라. 전부 다는 아니지만, 대개의 경우 마지막 라인의 오류 메세지는 문제 해결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 할 것이다. (gcc 버전이 4.0 이상이어야 한다던가…)

그러나 이제 막 웹을 공부해 볼 요량으로 APM을 설치하는 사람들에게 최신버전의 APM이 무슨 소용이란 말인가? 의미 없는 설치과정에 심력을 쏟기보다는, 패키지 설치 후에 남는 시간으로 남은 설겆이나 하는게 훨씬 유용할 것이다. 이 경우 어머니에게 귀여움을 듬뿍 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