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quor shot to le guin!

르귄에 대한 감회를 짧게 트위터에 올렸더니 @jaeyun 님이 바로 리플을 달아주시는데 내용이 이랬다.

‘liquor shot to le guin! liquor shot to all the dragons in Earthsea!’

최근에 재출간된 르귄의 ‘어둠의 왼손’을 오늘 다 읽고 나서야, 나도 같은 감회에 충분히 젖을 수 있었다. 나 역시 르귄에게 한 잔을! (맥주긴 하지만…)

르귄여사, 하면 꼬리표처럼 따라오는 ‘장르문학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온다면 단연코 첫번째 수상자가 될’ 이란 수식어에 피식한 적도 있었는데, 이상하게 예전에 잠깐씩 훑고 지나갔던 르귄은 당최 가까워지기 힘든 작가였기 때문이다. 그 말랑말랑한 수사며, 미몽에 찬 세계를 방황하는, 실존적 고뇌에 가득찬 주인공들은 심정적으로야 공감이 가지만서도 도무지 머리로는 이해 불가능한 작자들이었다.

어둠의 왼손을 읽어나가면서도 은근슬쩍 짜증이 나기도 했다. 대체 왜 지들끼리 (행복하게?) 지지고 볶아대는 게센 행성의 인민들에게 에큐멘의 동맹이 되기를 강요해야 하는가? 자기 신념에 대한 무한한 긍정이 외부세계로 확장될때 그것이 얼마나 큰 폭력이 되었던가는 우리가 이미 역사를 통해 절실하게 통감하고 있던 것 아닌가. 에큐멘은 결국 멋지게 포장된 서구 열강의 식민주의에 지나지 않는게 아닐까 하고 말이다.

그러나 일단 다음 문장을 만났을때 나는 지하철 안에서 부끄러움도 잊고 다리에 힘이 빠져 주저 앉을뻔 했음을 고백한다.

‘아니오. 제가 말하는 애국심은 사랑이 아닙니다. ‘공포’입니다. ‘타인에 대한 두려움’ 입니다. 그것은 정치적인 것이지 결코 시적인 것이 아닙니다. 증오와 분쟁. 침략, 이 모든 공포가 우리들 안에 있습니다. 우리 안에서 매일같이 자라고 있습니다. 해마다 깊어져 가고 있습니다.’
– ‘어둠의 왼손’ p39

그리고 앞부분의 이 문장은 한참 뒤에 가서야 지극히 개인적인 체험으로 성찰된다.

‘오르고린 사람들은 요리하는 방법을 모르거든요. 그런데 제가 오르고린을 싫어한다고요? 아니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어떻게 한 국가를 미워하거나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티베는 물론 그런 말을 합니다만, 제게는 그런 재주가 없어요. 나는 그 나라의 사람들을 알고 도시들을 알고, 농장과 언덕이며, 강과 바위들을 알고, 가을이 되면 구릉에 태양이 어떤 모양으로 지는가를 알고 있지요. 그런데 그런 것에 경계선을 긋고 이름을 붙인 다음, 이름이 붙여지지 않은 곳은 더 이상 사랑해선 안 된다니 대체 그 이유가 뭐지요? 그리고 자기 나라를 사랑한다는 건 또 무슨 말입니까? 자기 나라 아닌 곳은 미워하고 증오해야 한다는 말인가요? 그건 결코 바람직하지 않지요. 오히려 자기중심적인 사랑이 아닐까요? 물론 그것도 중요한 것입니다만 미덕이 될 수는 없지요. …… 인생을 사랑하는 만큼 나는 에스트르 영지의 언덕들을 사랑합니다. 하지만 그런 종류의 사랑에 증오의 경계선은 없어요.’
– ‘어둠의 왼손’ p 271

현미누나는 오히려 후반부로 갈 수록 주제의식이랄까 하는 것들이 희미해지는 바람에 (겐리와 아스트라벤의 엑소더스가 그리도 지루했다는) 생각했던 것만큼 후한 점수를 주기는 힘들 것 같다고 했지만, 나는 오히려 피상적으로 받아들여 질 수도 있는 게센과 에큐맨, 개인과 사회, 국가와 국가 간의 복잡하게 얽힌 이해 관계들에 대한 르귄의 주장이 후반부의 두 남녀(?)가 오르고린을 탈출하며 겪게 되는 개인적인 체험들로, 즉 이해 가능한 모습으로 녹아드는게 아닌가 싶었다.

뭐, 게센인의 독특한 생리적 특징들에 대한 알레고리를 더욱 적극적으로 살려내려는 시도가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점에는 동의하지만서도.

아무튼 어둠의 왼손을 읽고 단숨에 르귄의 팬을 자처하게 되었고, 헤인 시리즈를 구매목록에 넣어두었다. 어스시 시리즈는 일단 좀 두고 봐야 할 것 같다. 퍼언 연대기나 테메레르를 (이것도 구매 목록에 넣어 두었다. 르귄 작품은 아니지만.) 다 읽고 난 다음엔 어스시도 읽고 싶어질지 모른다.

무지개 여신

사실 다른 글을 적고 있다가 플레이어에서 무지개 여신 테마곡이 나와서 급선회.

진실한 멜로영화는, 두 캐릭터가 서로에게 진심이지만 그 진심이란게 결국은 가능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영화가 아닐까. 가끔 일본애들은 진짜 이런 영화들을 만든다. 러브 레터가 그렇고, 사월의 이야긴가는 보다가 히로인이 맘에 안들어서 때려 치웠지만, 무지개 여신은, 아무튼 내가 생각하는 멜로영화의 계보를 이어가는 그런 영화다.

그러고 보니 정말 통속적인걸 통속적이게 잘 묘사하는 무라카미 하루키도 일본 사람이지, 아마. (그러나 그를 ‘진짜 일본사람’이라고 부를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아무튼 그의 단편 가운데 하나인 ‘토니 타키타니’를 원작으로 한 영화도 나오는 캐릭터들이 뭐 하나 제대로 안되는 그런 영화였다.

아무튼 문제는 우에노 주린데, 어찌된게 이 여자는 이다지도 싱그럽단 말인가. 싱그럽다 못해 징그럽게 푸르다. 옆에 그런 사람 하나 있으면 항상 웃게 될 것 같다. 그건 그렇고, 도식화해서 무지개 여신의 연예감정도를 그려보자면 이렇다.

1. 주리사마가 남자 주인공놈을 좋아함.
2. 이놈은 주리사마를 그냥 친구로만 생각함.
3. 둘 다 대학 졸업하고 주리사마는 영화 동아리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방송국에 취직함.
4. 이놈은 계속 딴 여자에만 기웃거림.
5. 주리사마 맘 상했음. 그러다 PD가 미국가라고 해서 고민하다가 미국 가버림.
6. 그 사이 이놈은 주리사마 잊어버리고 여러 여자랑 사귐.
7. 세월은 흘러흘러 주리사마가 귀국하는데, 비행기 사고가 나서 사망.
8. 주리사마 동생이 이놈한테 연락해서 장례식에 감.
9. 주리사마 방에서 기념품을 챙기다(?) 주리사마가 자기를 좋아했다는걸 깨달음.
10. 하늘 보다가 끝남.
(아, 물론 영화의 편집은 이렇게 시간순이 아님.)

결론은?

우리는 누군가를 계속 사랑한다고 믿지만 결국 아무도 사랑하지 못하고 아무와도 연결되지 못한다는 것. 이걸 위안으로 삼아야 하나?

그냥 그랬다지요…

Rain
– Kanno Yoko

I don’t feel a thing
And I stopped remembering
The days are just like moments turned to hours
감각이 사라져가
이젠 아무 것도 기억나지 않아
시간이 흐르는 것도 이젠 아무 의미가 없지

Mother used to say
If you want you’ll find a way
Bet mother never danced through fire shower
엄마는 내게 말하곤 했어
꿈꾸기만 한다면 넌 꼭 길을 찾을꺼라고
하지만 엄만 이런 포화속에서 비명을 질러본 적이 없지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in the rain
I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Is it right or is it wrong
and is it here that I belong
빗속을 걸어가, 빗속을, 빗속을
걷고, 또 걷고
이젠 뭐가 정의인지도 모르겠어
내가 살아 있는건지도 모르겠어

I don’t hear a sound
Silent faces on the ground
the quiet screams, but I refused to listen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아
고요가 온 세상에 퍼진 것 같아
침묵이 비명을 지르지만, 이젠 좀 그만 끝냈으면 좋겠어

If there is a hell
I’m sure this is how it smells
I wish this were a dream, but no, it isn’t
지옥이란게, 씨발, 있다면
아마 이런 냄새가 나겠지
제발 이 모든게 꿈이었으면,
하고 바라지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in the rain
I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Is it right or is it wrong
and is it here that I belong
빗속을 걸어가, 빗속을, 빗속을
걷고, 또 걷고
이젠 뭐가 정의인지도 모르겠어
내가 살아 있는건지도 모르겠어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in the rain
I walk in the rain, in the rain
Why do I feel so alone
for some reason I think I’m home
빗속을 걸어가, 빗속을, 빗속을
걷고, 또 걷고
집에 있는 것 같은데
왜 이렇게 외로울까,
왜 이렇게 힘들까….

tom mcrae news on 14. 10. 2008

14.10.2008

Apparently the forum is offline, sorry about this, it’s technical gremlins somewhere totally outside of our control.Look, if the governments of the world can’t control the economy, and no one seems to be in charge of anything – is it any surprise when something like this happens? We can only apologise again, and hope that the forum rescue plan we put into operation can save us all, before it’s too late.

2008년 10월 14일

보시다시피 포럼은 오프라인 상태입니다. 정말 죄송해요. 원인을 알 수 없는 기술적인 문제들 때문에 우리도 어쩔 수가 (control) 없답니다. 하지만 보세요, 세계의 수많은 정부들도 경제 문제에 대해선 어쩔 수가 (control) 없잖아요? 그리고선 아무도 책임지려고 하지 않지요. 이런 비슷한 일이 우리에게도 일어났다고 해서 그게 뭐 크게 놀랄 만 한 일은 아니겠지요. 우린 그저 또 다시 사과할 뿐입니다. 그리고 우리 모두를 구원할 수 있는 포럼 구조 작업을 계획하면서, 그게 늦지 않았기를 바랄 뿐이지요.

—>

뭐 딱히 블로그에 쓸게 없어서 오랫만에 톰 맥레이 사이트에 들어가 최근 뉴스 (라고 해봐야 작년꺼) 를 번역해본다. 내가 이 청춘을 좋아하는 이유는, 약간 과장된 모양이긴 해도 끊임없이 자기와 사회를, 세계를 생각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싱어-송 라이터라는 직업적 특성상 그가 가진 파괴력을 아낌없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소비한다.

다 치우고, 그저 일관된 자세로, 적어도 방향 만큼은 바뀌지 않으며, 그러니까 변심하지 않을 자신이 우리에게 있다고, 아니 나에게 있다고 과연 강력하게 주장 할 수 있을까. 사장이 어느날 회식 자리에서 ‘좌빨새끼들’이라며 ‘그렇지 않나요 이대리?’하고 물으면 나는 어떻게 대답 할 수 있을까? 아마 한 밥 두 공기 정도의 칼로리를 소모하면서, 그토록 열심히 대가리를 굴려 본 적이 없을 정도로 맹렬하게 내가 견지하고자 하는 방향과 사장의 질문에 대한 답변의 간격을 최대한 좁힐 수 있는 최적의 문장을 만들어 내려고 노력하는 수 밖에는 없을 것이다.

실제로 노무현 발인이 있던 날 점심을 먹으면서 같은 팀의 사원 하나가 ‘여기에 혹시 노무현 지지자가 있을 것 같아서 일부러 말은 안하지만… 혹시 있으세요?’ 라고 던진 질문에 내심 속으로 ‘적어도 지지자는 아니었으니까’하고 말아버렸지 않는가.

나는 어떤 형태로 서 있는가. 나는 자신이 있는가. 목표는 분명한가.

매일이 자신에 대한 혐오로 가득하다. 그리고 나는 바란다. 제발 내일은 이 혐오가 다시금 에너지가 되기를.

멋진 징조들, Good Omens

 지구 대기를 이루는 층의 가장 높은 곳에 ‘인류의 잠재의식’이라고 불릴 만 한 것들이 떠다니고 있고, 가끔 그 의식이 내키는대로 한 개체에게 계시를 내린다는 이야기가 있다. 소설로부터 기억한 것인지 무슨 사상서나 아니면, 인터넷에서 누군가의 몽상으로부터 기억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는 그걸 꽤나 진지하게 믿고 있다.

 그래서 때로는 아주 대중적인 것이나 제대로 언급할 가치가 없는 생산물, 쓰레기 영화나 소설로부터도 나는 어떤 예감 같은 것을 느낀다. 인류의 잠재의식을 개인의 머리로 고스란히 인식할 수 있는 지적 천재들은 분명히 자신의 생산물이 가지는 모습을 명확하게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가끔은 놀라울 정도로 멋진 것들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만들어 놓고도 자기가 뭘 ‘발견’ 했는지 모르는 그런 것.

 멋진 징조들을 읽으면서, 잠시 행복했다. 제기랄, 운명이라던가 거룩함 같은건 높으신 양반들이나 열심히 섬기라고 하지. 지구에 남겨진 천사와 악마는, 그래서, 미워할래야 미워할 수 없는 인간을 구하기 위해, 정확히 말하자면 처연하게 느껴질만큼 악독한 인간성과 그것들이 이룩해 놓은 문화를 구하기 위해 그들의 ‘보스’에게 대적하기로 한다.

 ‘추락했다기보다는 어슬렁어슬렁 걸어 내려갔다고 할 정도의 타락천사’인 크롤리와 ‘천사이며, 부엌으로 희귀 서적상을 하고 있’는 아지라파엘이 고뇌하며 신의 계획에따라 적그리스도의 탄생을 보좌하며 아마겟돈을 통해 인류를 멸망에 이르게 해야 할 것인지, 아니면 초밥과 모짜르트를 위해 신에게 반기를 들어야할지 갈팡질팡하는 이야기들은 사실 그다지 불경스럽게 읽히지는 않는다. 차라리 너무 귀여워서 깨물어주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이야기 가운데 인용된, 신곡의 다음 구절로 압축된다.

지옥의 가장 뜨거운 자리는 도덕적 위기의 시대에 중립을 지킨 자들을 위해 준비되어 있다.

 존재의 본질이 ‘거짓과 반항’인 악마 크롤리 (이 웃긴 악마는 결국 사탄에게까지도 반항한다. 왜냐하면 그게 바로 그의 속성이기 때문이다. 이 얼마나 자기반성적인 존재란 말인가!) 는, ‘진실과 충성’이 본질인 천사 아지라파엘을 집요하게 (신의 계획에 반대하게 하기 위해) 꼬시는데, 에덴동산 시절에 뱀이 하와를 꼬시는 식의 교훈적인 이야기는 아니다. 크롤리는 계속 아지라파엘의 진심에 호소한다. 그의 결단을 촉구한다. 그게 신의 계획이므로 그것에 따르는 것은 무조건 옳다, 는 자신의 본질에 각인된 무반성적인 행위보다 스스로 판단으로 다음의 한 발을 내딛기를 요구한다.

 수상한 시절이다. 시대가 이야기를 만들지만, 이야기는 언제나 시대보다 앞서있다. 그것은 항상 엔트로피를 역전한다. 아지라파엘은 그가 수천년간 인류와 함께 지내오면서 쌓아 온 추억을, 결국 앞지르지 못한다. 그에겐 돌아가야 할 고서점이 있다. 그 서점은 책을 팔기 위한 곳이 아니라, 자신이 읽을 책을 보관하기 위한 서점이다. 그래서 때때로 손님이 가게 문을 열고 들어오면 그는 ‘혹시라도 책을 사갈까봐’ 안절부절 못하기도 한다. 그는 초밥을 사랑하고 모짜르트를 사랑하고 ‘사운드 오브 뮤직’을 사랑한다. 그래서 그가 선택한 것은 인간이었다.

 테리와 닐은 거의 농담처럼 주고 받으면서, 다 읽고 나면 ‘어, 이거 꽤나 두꺼운 소설이었잖아 (500페이지가 넘음)’
하고 고개를 갸웃거리게 될 긴 이야기를 완성했다. 분명 그 안에 억지로 의미나 가치를 구겨 넣으려고 노력하지는 않았으리라.
그래도 분명히 든든해지는 이야기다. 아마도 인류의 잠재의식이 그때에 잠깐, 그들을 주시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어떤 소식

새벽에 잠깐 아버지가 들어와 텔레비젼을 고쳐달라고 나를 몇 번 흔들어 깨우다가, 내가 비몽사몽으로 대꾸를 하니까 그냥 나가셨는데 열한시쯤 일어나 ‘희안한 꿈을 꿨네.’ 하고 있자니 윤식이형한테 열시쯤 부재중 전화 두 통화가 와 있었다.

깨어나서 화장실에 갔다가 집안이 조용해서 뭔가 하고 안방에 들어갔더니 진짜로 텔레비젼이 고장나 있었고, 어머니와 아버지는 잘됐다 싶어 이미 새로운 엘씨디 텔레비전을 주문하고 돌아오시는 길이었다. 이십년 넘게 사용을 한 텔레비전이었고, 수리기사 말로는 ‘인간 수명으로 보자면 120살 정도 된 텔레비전이에요.’라고 했다니 나도 모르게 피식 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윤식이형한테 전화를 걸었더니 놀라운 이야기를 하는게 아닌가. 노무현이 죽어? 이 뭔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그때가 오전 열한시 반이 조금 넘어가는 시간이었고 아니나 다를까 낮부터 술을 마셔야겠노라며 신도림으로 튀어 나오라는 소리에 기겁을 하고 끊었다.

텔레비젼이 없으니 소식을 알 수가 있나. 포털 사이트에 들어갔다. 온통 노무현의 죽음에 관한 기사뿐이다. 블로그도, 트위터도 정신없이 새로운 글들로 갱신되고 있다. saxboy님의 트위터에 ‘장준하 선생님 생각난다’고 했는데, 정말 데자뷔가 아닌가. 날은 맑지 않고, 나는 두껍게 커튼을 친 상태로 어제 받아 놓은 다큐멘터리를 봤다.

텔레비전이 완전히 고장난 시점과 한 사람이 생을 마감한 시간이 비슷했다고 언급하는 것은, 자연의 무작위성에 항상 어떤 의미를 부여하려고 하는 인간 이성의 속성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말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정작 그게 무슨 의미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타인에 대해서 최대의 경의를 표하는 것은 언제나 깊이 생각하며 역지사지 하는 것 밖에는 없다고 생각한다. 그의 인생과 마지막으로 죽음을 결심하며 유서를 작성했던 오늘 새벽의 몇 시간 말이다. 역지사지 하는 척이라도 할 수 밖에 없다. 정말 그 이상 아무 것도 할 수 없다. 우리는 끝내 우리 자신의 인생밖에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분노에 떨며 현정권의 종료일을 기다리고 있다. 꼭 그럴 필요는 없을 것이다. 나는 아직도 작년 비비케이 사건에 관한 증거들 – 천연덕스럽게, 끝내 ‘혐의 없음’, ‘증거 불충분’ 등으로 판단해버린 – 을 컴퓨터에 보관하고 있다. 정말 중요한건 현정권, 까놓고 말해서 이명박 심판이 아니다. 그건 언제나 그랬듯이 과정이다. 어제보다 조금 더 나은 오늘의 우리가 되는 것, 그리고 그것이 계속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오늘 본 다큐멘터리에서는 내가 좋아하는 치올코스프키의 유지가, 가상의 명왕성에서 러시아 우주인에 의해 읊어졌다.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요람에서 머물 수는 없다.

우리는 오늘을 살지만, 오늘은 곧 과거가 되고 내일이 찾아 온다. 내일의 우리는 결코 오늘과 같아서는 안된다.

평화 속에 잠드시길.

—>

생각나서 예전에 스크랩해뒀던 사진 한 장 덧붙임.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하루

아주 긴, 긴 하루가 또 끝나려고 하고
청년은 퍼렇게 동트려 하는 창밖을 바라보며 잠들려고 노력한다
동트기 바로 직전이 가장 어둡다는 이야기는 좀 개소리라고 생각하고
언제나 그렇듯이,
자명한 것들은 너무 흔하게 알고 있는 것이어서 깨닫기가 쉽지 않다
고 어두운 손바닥에 쓴다
청년은 시시때때로 꿈을 꾼다
꿈 속에서의 청년은 애정넘치는 인간이다
꿈 속에서 그는 아주 가끔만 절망한다
스탠드에 팔꿈치를 얹고 콜라를 마신다
그는 궁금해졌다
과연 나만큼 어두운 꿈을 꾸는 사람이 있을까
그에겐 일생이 꿈일 것이다
백만년쯤 전에 지나온 꿈이다
그리고 피식 웃는다

—>

안녕 잔인한 세상아
난 이제 널 떠나려 하네
네가 뭐라고 해도
내 맘은
바뀌지 않아

—>

영원히 살면서
세상의 종말을 보고 싶다
그 이후에 이야기 해 줄 사람이 없더라도

정상

몇가지 일이 지난 주에 일어났다. 일단 새롭게 일자리를 구해야 할 일이 생겼고 감기로 인해 이틀 동안 침대에 누워있었더니, 감기보다 요통 때문에 더 고생했다. (나중에 자가 진단을 내려 본 바, 통증의 원인은 장기간 누워 있던 자세로 인한 요통이 아니라 감기로 인한 근육통인듯 싶다.) 깜빡 잊고 담배를 사흘 정도 피우지 않다가 갑자기 생각나서 다시 피우게 되었다. 이틀만에 감기는 진압된 듯 보였지만, 오늘 또 코끝을 간지럽히는 기침이 요란하다.

요즘 자주 만나는 몇 명의 사람에 대해서 생각해봤다. 몇번이고 왜 내가 만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정상적이지 않을까, 다들 어딘가 모르게 삐뚤어진 것처럼 느껴졌던 것이다. 그리고 통근을 하며 지하철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면면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기면, 나와 안면도 전혀 없는 이 사람들 조차 정상은 아닌 것 같았다. 그런데 그게 너무 이상했다. 무엇이 정상일까. 나는 단 한번이라도 정상적인 사람을 본 적이 있느냔 말이다. 욕심만 앞선 습작에서의 인물이 각진 종이인형처럼 날카롭게 삐죽거리는 것처럼, 사람들도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진짜 자신을 평범하다고 여기는 사람만큼 비범한 사람도 없을 뿐더러, 실제로 비범한 사람은 단 한번도 보지 못했으니 적어도 내 주위에 있는 사람들은 다들 자기 자신을 비범하다고 여기는 것 같다. 심지어 나조차도 그렇다. 그냥 그걸 아이덴티티라고 하자. 그렇게 보면 정상인 사람은 아무도 없다. 아무도 행복이 무엇인지 모르면서 행복을 바라는 것처럼, 정상인 것에 대한 고민 없이 우리는 정상이기를 바란다.

커먼 센스는 넌센스다. 보편은 없고 보편에 대한 환상만 있다. 그래서 누군가 이데올로기를 허위의식이라고 번역한게 참 그럴듯 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