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놔, 레몬펜 이거 뭐냐!!

몇 년 전에 나 혼자서 정말 기막힌 아이디어라고 무릎을 쳤던 인터넷 서점 관련 서비스가 있었다. 당시에 나는 내가 자주 이용하던 인터넷 서점에 그 서비스를 건의했었고, 답장으로 온 것도 흥미있는 아이템이라며 고려해 보겠다는 고무적인 내용이었다. 그러나 몇 개월 뒤 교보문고에 갔다가 완전 똑같은 내용의 서비스를 발견하고는, 어떻게 이렇게 같은 아이디어가 비슷한 시기에 여러 사람에게서 나올 수 있는지 믿기 힘들었던 적이 있다.

나는 며칠 전에 정말 기막힌 아이디어 하나를 떠올렸다. 일반적인 댓글 기반의 의사 전달 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는, 추가로 달리는 댓글의 숫자가 많아지면 많아질 수록 원본 글과의 물리적 거리가 길어진다는 것이다. 때문에 댓글을 한참 읽다가, ‘그런데 이게 무슨 내용에 관한 댓글이지?’ 하고 다시 마우스를 움직여 스크롤-업 해야만 했다. 그래서 댓글이 원본 글의 밑에 달리는 방식 이외의 것을 생각하다가, 댓글을 원본 글의 글자 사이사이에 넣는게 어떨까 하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이를테면,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라는 문장까지 읽고 ‘당신의 아이디어는 우습지도 않아!’ 라는 댓글을 달고 싶다고 하자. 그럼 댓글이 바라보는 키워드 문장 (내지는 단어) 에 일종의 표식을 해두고 다음에 누군가 그 글을 볼때 같은 지점에서 내가 쓴 댓글이 달린 내용을 알아차리는 것이다. 이런게 재귀적으로 작용해 댓글과 원본 내용에 관한 시각적인 의미 관계를 유추해 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걸 생각하고 얼마나 떨렸던지… 그래서 차근차근 생각을 정리하고 오늘 시험삼아 코딩 해볼까 하면서 참조해볼만한 기술적인 효과들을 찾던 중에… 발견해버리고 만 것이다. 완전 똑같은 아이템으로 이미 베타 테스팅 중인 서비스를.

레몬펜 (http://www.lemonpen.com/)

적용된 모습 마루짱(?)님 블로그의 ‘화려한 디자인 변신, ‘디지털 지갑” (http://www.designlog.org/2511227)

글을 보다 보면 글의 하단 부분에 형광색으로 몇 단어가 마킹 되어 있고 옆에 말풍선으로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당연히 말풍선을 누르면 댓글이 나타난다. 내가 생각했던 것과 완전히 같다. (레몬펜은 댓글형식으로만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모양이지만, 이걸 확대 적용하면 마치 위키처럼 지식을 기술하는 새로운 기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허탈감이랄까.. 어째서 비슷한 시기에 또 이런 아이디어를 만났을까, 나는.
덕분에 손마디를 꺽어서 이제 한 번 시작해 볼까 하던 마음이 바람 빠진 풍선처럼 늘어졌다.

ㅜ.ㅜ

아 놔, 레몬펜 이거 뭐냐!!”에 대한 4개의 생각

  1. IT 분야만 그런 게 아니라, 아침에 신문 칼럼을 읽다가도, ‘아, 나도 이런 표제를 쓰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나도 이거 인용해서 작금의 현상에 써 먹을라고 했는데…’하는 생각을 자주 한다니까. 같은 시공간을 사는 평준화된 교육수준과 상상력의 사람들이 비슷한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것은 개인 간의 차원에서 당연한 게 아닐까. 하물며 동종업계 기업 간의 차원에서는 한 발 늦은 안타까움이 단지 게으른 실천력에 대한 것이 아니라, 누가 먼저 발빠르게 그것을 구체화시켜서 이윤창출을 위한 사업화에 적용했느냐 하는 것이기에 그렇게 연구개발에 투자를 많이 하는 것이겠고. 투자비의 여유가 없는 기업들은 산업스파이를 동원해서라도 그것을 메꾸려고 하는 것이겠고, 아이디어를 구체화할 수 없는 소규모 또는 개인들은 그것을 높은 값에 팔려는 날품팔이가 되려는 것이겠고… 암튼.

    • 아니면 일종의 노이로제 일지도 모르지. 예를 들면, 손님 없는 가게에 나만 들어가면 손님이 줄지어 들어온다는 ‘이주헌 이펙트’나.. 내가 구상한 아이디어는 간발의 차이로 (정말 간발의 차이로!) 누가 먼저 구현했다거나 하는 ‘이주헌 신드롬’이나..

      그런데 내가 정말 말하고 싶었던건 네가 말하는 그런 빨갱이 청년의 얌전한 분석이 아냐. 뭔가 심상치 않아. 사실 어딘가 저 높은 곳에 우리의 생각을 조종하는 거대한 존재가 있는게 아닐까 싶은거지. 모든 아이디어는 그곳으로부터 나오고, 그곳에서 끝나는 그런거.

      예전에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인가 하는 베르베르의 책에서인가 읽은 내용인데, 실제로 그런 주장이 있었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