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더듬은 날’은 ‘International Stuttering Awarness Day’를 국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세계인구를 60억이라 가정할 때 약 1퍼센트 정도가 말을 더듬는 것으로 추정된다. 남한인구보다 훨씬 많은 숫자인 6,000만 명 가량의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에 상관없이 유창성장애에 시달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헌장은 절규한다. “말을 더듬는 이들에게 일상적 의사소통은 끊임없는 투쟁”이라고.
말을 더듬는 이들은 매일매일 투쟁을 한다. 조국통일을 위해서가 아니라. 미제축출을 위해서가 아니라, 노동해방을 위해서가 아니라, 독재타도를 위해서가 아니라. 민족중흥을 위해서가 아니라, 정권탈환을 위해서가 아니라. 그냥 “자장면 곱빼기”와 “여보세요”나, 혹은 “아저씨 신촌로터리 가주세요” 따위의 지극히 평범한 단어들을 나열하고자 전신을 뒤틀고 심신을 쥐어짜며 분투해야 하는 것이다. 내세의 지옥과 현세의 감옥의 중간지점에 아마 말더듬이의 세상은 존재할 게다.
나는 말을 더듬는데, 요즘도 더듬는지는 잘 모르겠다. 어느 시점을 계기로 말을 더듬고 그것을 교정하며 대화할 때 내가 말을 더듬는지 더듬지 않는지 신경쓰거나 막히는 단어들을 피하기 위해서 같은 의미의 다른 단어들을 국어사전에서 찾아 외우는 등의 일들을 하기가 귀찮아졌다. 그냥 좀 더듬기로 했고 몇몇 친구들은 내게 말을 천천히 하라거나 머리 속에서 할 말을 정리한 다음에 하라는 충고를 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별 말 없이 나와 대화해주었다. 그래서 그냥 그런 것들에 익숙해진 나머지 내가 말을 현재도 더듬는지 잘 모르게 되었다. 아마 좀 더듬을 것이다. 여전히 막히는 단어가 좀 있고 긴장하면 주춤하게 된다.
세계 말더듬이의 날, 이란 것이 있는 걸 보곤 좀 마음이 푸근해졌달까. 나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나 이외의 말더듬이를 본 적이 거의 없는데, 통계적으로 봤을때 내가 말더듬이와 마주치지 못한 것은 기이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아마도 말더듬이들은 심각한 대인장애를 동반하고 있을 것이다. 나도 그랬으니까.
정말 그랬다. 나는 주로 ㅈ, ㄷ 자음이 들어간 단어를 발음하기 힘들었다. 대학에 와서 담배를 피우기 시작했을 때 “디스”라는 말이 나오지 않아서 매번 “팔팔”을 샀다. “짜장면”이나 “짬뽕”을 말하지 못해서 중국집에 무언가를 시켜본 적도 없다. (요즘엔 잘 한다.)
지금은 물론 말을 더듬는 것 때문에 괴로워하는 일은 없다. 나는 어른이 되었고 그 이상 괴로운 일이 훨씬 더 많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엄밀히 말하자면 나는 장애인이고 (물론 법적 장애인은 아니지만) 일반인에 비해서 소수자로써 장애인이 갖는 괴로움을 좀 더 세밀하게 이해할 수 있다. 지금까지 왜 이런 생각을 하지 못했는지 안타깝다. 말을 더듬는게 축복까진 아니어도, 내 자신이 원하는 세상에 다가가는데 좋은 계기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저 굵은 글씨체로 되어 있는 인용문이 이해가 되세요? 나는 저거 보면서 눈물이 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