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구름

…누군가 그에게 물어보았다. 예술영화와 상업영화의 차이가 무엇입니까? 차이 밍 량은 잠시 생각한 다음 대답했다. “인류 평화와 지구의 안전을 위해 고민하면 상업영화이고, 나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으면 예술영화입니다.” 이보다 더 적나라하고 맹렬한 자기 자신의 고통에 대한 고백이 어디 있단 말인가?

정성일의 사적 부산영화제 견문방문록, 정성일, 씨네21

나는 지금 일을 하다 말고 이 글을 쓴다. 아니 잠깐 잠깐 불안이 발치에 흔들리면 나는 다시 일을 할 것이며, 가슴이 울렁거리면 또 글을 쓰게 될 것이다.

솔직히 이 영화에 대해서 아무런 할 말이 없다. 아니 말을 할 수가 없다. 누구의 표현을 빌자면, 그러고보니 나는 아직 어렸다, 던가 이를테면 아직 커피의 맛을 잘 모른다 (매우 단 맛만 즐기는) 는 것이다. 나는 종종 외롭다는 표현을 자주 쓰는 것 같다. 그의 말대로 어느 날 그 말마저도 할 수 없을 때가 올 것이다. 그러니까 이 영화는 그런 얘기다, 라고 설명해줬다.

아니 정작 극장에서는 덤덤하더니만, 지금은 왜 이리 울쩍해지는 것인지, 매우 아득해지는 일이다. 죽은건지 기절한건지 몸을 가누지 못하는 여자 포르노 배우를 두고 씩씩거리며 힘을 쓰는 남자, 를 벽 너머에서 지켜보다가 대신 절정에 다다르는 여자, 의 입에 돌연 사정하는 남자, 의 정액을 삼키는 여자의 눈에서 흐르는 눈물. 액체의 교환. 매우 가문 날에 사람들은 그렇게라도 소통해야 하고.

사람을 슬프게 만드는 영화는 우습지만, 슬픈 영화는 진정이다. 왜냐하면 영화를 통해서 나 또한 슬픈 존재임을 확인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감정을 과잉하게 만들거나 스스로가 처연하도록 노력하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다.
그래서 챠이 밍 량의 저 말이 매우 맘에 든다. 그래서 언젠가 누가 말했듯이 모든 소설은 자전적 소설일 수 밖에 없고 사람은 자기 자신을 속일 수 없다.

그러니까 나는 앞으로도 계속 외롭다고 말 할 것이다. 오장육부에 샅샅히 남은 것들까지 모두 말하면 이것은 아직까지는 외롭지 않다는 이야기가 되고 그래서 한 발 더 내딛게 되겠지. 그러나 언젠가는 꿀먹은 벙어리가 될테니, 부디 그때에 우리는 정말로 외로워지는거다.

—————->
to satii
네이트 와이드 스크린의 아핏차퐁은 “정오의 신비로운 물체”네요. 왠지 이건 봤을듯.
그리고 확실히 이강생, 애정만세때는 젊었네요. 젊다못해 비린내가 날 정도로. 약간 장국영 생김의 느낌도 나고…

드디어 구했다.

Symphony No3 “Symphony Of Sorrowful Songs”
Henryk Gorecki


Symphony No.3 Op.36: Lento – Sostenuto Tranquillo Ma Cantabile


Symphony No.3 Op.36: Lento E Largo – Tranquillissimo


Symphony No.3 Op.36: Lento – Cantabile Semplice

자신에게 관대한 것과 타인에게 관대한 것의 경계선에
잘 서있어야 해.
‘오래된 정원’ 봤어?
황석영의 장점은 사람의 세부심리묘사가 탁월하다는 거야.
것도 쉽게 전달해주지.
‘오래된 정원’을 잘 봐, 해답을 얻을 수 있을 거야.
헨릭 코레츠키의 <슬픔의 노래>를 들어봤어?
정찬의 중편 <슬픔의 노래> 읽어봤어?
음악 다운 받느라 힘들었다, 책도 곧 읽어볼 거야.
쉔베르크의 음악 듣다 질려버린 적이 있지.
그래서 현대음악은 잘 안들어.
그런데 <슬픔의 노래>는 달라.
이 노래 들으면서 인간의 관대함을 생각했지.

-언제, 어디선가 수집했던 글

너희 들 가운데 죄 없는 자가 돌을 들어 이 여자를 쳐라,
했더니 오늘날 수많은 자가 돌을 들어 여자를 쳤다.
오 이런, 무진장 순수한 세계야.

타인을 용서할 수 있는가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용서할 수 있는가.
아우슈비츠에서, 중동에서, 만주땅이거나 버마에서, 베트남에서, 칠레, 스페인, 아일랜드, 광주 혹은 아직도 세계 곳곳에서 돌을 던지는 자기 자신을 용서할 수 있는가가 문제야.

아.. 이 음악은 왜 이렇게 이상하지?
내가 던진 돌을 맞은 여자가 나를 용서하는거야.
왜 슬픔의 노래라는 제목이 붙었는지 알겠어.

세계가 갑자기 멸망하거나 모든 고통이 일순간 사라지거나 모든 전쟁이 종결되지 않는 한, 나는 이 음악이 언제까지나 세상에 잘 어울리는 곡이 될 것 같은 기분이 든다.
(Unless the world suddenly turns on a dime and all suffering instantly goes away and all war is ended, I feel like this will always be a piece of music that is timely.)

어떤 리뷰에서

2005년 11월, 겨울의 입구에서

Adagio For String – Barber, Samuel

Gayane Ballet Suite(Adagio) – 2001 Space Odessy OST

아다지오 [이탈리아어 adagio] <부사> ≪음악≫ ‘매우 느리게의 뜻. 안단테와 라르고 사이의 느린 속도로.

겨울은 아다지오로 찾아온다.

모든 정지하려는 이미지들은
수학적으로 말하면 한없이 0에 수렴하는 어떤 값이다.
완전히 정지하는 일 없이 느리게,
그러나 치명적으로.
서서히 죽어감.

삶이 부재하는 것처럼 죽음도 부재하고.

살아감이나 죽어감만 있다.

그렇게 어느 덧 겨울이다 싶으면,
금새 봄이 되고 마는.